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racle
- 코딩테스트연습
- js
- 톰캣
- node.js
- java
- MySQL
- CSS
- JavaScript
- db
- 타임리프 리로드
- GUI
- 프로그래머스
- sqlplus
- CLASS
- Thymeleaf
- chrome mobile debug
- C
- spring
- 크롬 디버깅
- C언어
- Tomcat
- 그룹별 유효성 검사
- 유효성 그룹
- HTML
- Swing
- devtools
- 프로젝트
- vue-cookies
- Valid groups
목록java (14)
개발 기록

overriding -오버라이딩은 상속받은 슈퍼클래스에서 이미 정의된 메서드를 재정의 하는 것이다. ex)부모님이 물려주신 옷을 수선해서 사용하는 등.. overriding의 조건 -동작만 재정의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개변수의 자료형, 매개변수의 갯수 등 선언부가 기존 메서드와 일치해야 한다. -슈퍼클래스의 기존 메서드보다 낮은 등급의 접근 제한자로 변경이 불가하다. ex) default =>private 으로 변경 불가능! overriding이 필요한 이유 -슈퍼클래스에서 상속받은 메서드가 내가 필요한 기능이 아닐 경우 나한테 맞는 기능을 구현할 때 필요하다. 메서드 명은 유지되고, 동작(기능)만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오버로딩이란 무엇인가? 오버로딩이란 같은 클래스 내에서 메서드 이름의 중복을 허용하는 것! 정확하게 말하면 매개변수의 갯수나 매개변수의 자료형을 다르게 선언한다면 메서드 이름의 중복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내가 getInfo( )라는 이름의 메서드를 만들어서 사용했다고 치자. 하루는 성적을 매개변수로 넣어서 성적만 가져오고 싶고, 다른 날에는 이름을 매개변수로 넣어 이름만 가져오고 싶다. 또 그 다음 날에는 매개변수에 성적과 이름을 넣어서 둘 다 가져오고 싶다면..!! 이때 만약 오버로딩이 없었다면 나는 각 기능마다 서로 다른 이름의 메서드를 만들어야 됐을 것이다. ex)getInfo_score( ), getInfo_name( ), getInfo_scoreName( ) 등... 정말 생각만 해도 귀찮고 ..

오늘은 접근제한자에 대해 알아보자! 접근제한자를 사용하는 이유 만약 내가 비밀일기를 친구와 공유하고 있다고 치자. 그럼 이 일기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나와 내 친구 둘 뿐일 것이다. 그런데 일기에 대해 접근 제한을 두지 않는다면, 나와 친구 둘 뿐만 아니라 부모님, 사촌, 심지어 지나가던 이웃마저 일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참사를 막기 위해 접근제한자를 사용해야 한다. 접근제한자의 종류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오른쪽으로 갈 수록 보안의 강도가 높아진다.) 1)public public은 모두에게,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만든다. ex)일기를 SNS에 올려서 모두가 볼 수 있게 공개 2)protected 상속관계/ 같은 패키지 에게만 접근을 허락한다...

환경변수 설정은 경로를 매번 지정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 특별시 강남구~~홍길동이 있다고 치면, 매번 그를 부를 때 주소까지 부르기란 너무 번거로운 일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서울 특별시 강남구~~를 path설정을 하고 홍길동을 부르면, 그 주소에 있는 홍길동을 부를 수 있게 된다. java에서 컴파일을 하려면 java jdk파일 안에 있는 bin파일 안에 있는 javac에 접근을 해야되는데 이 경로를 쓰기란 참 번거로운 일이다. 환경변수 가는 법(윈도우 10 기준입니닷..)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시스템]-[고급시스템 설정]-[환경 변수] 이렇게 접속을 하면 위 아래로 변수가 나눠져 있다. user에 대한 사용자 변수는 지금 로그인 되어 있는 계정에 대한 변수..

자바에서는 기본 자료형을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숫자형 숫자형은 말 그대로 숫자를 의미하여 숫자형에서도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다.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으로 크기를 정하며 각각 1, 2, 4, 8 Byte의 크기를 갖는다. 정수형의 기본값은 int 실수형) float, double이 있으며 각각 4, 8 Byte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double이 기본형이다. float형을 선언할 때는 float a = 5.12; 등과 같이 선언 했을 시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데 값뒤에 f를 붙여 줘야 float형을 인식을 한다. ex) float a = 5.12f; 2)문자형 문자형은 char과 문자열인 String이 있다. 이때 char형은 c언어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경우 1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