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LASS
- sqlplus
- 그룹별 유효성 검사
- 타임리프 리로드
- vue-cookies
- devtools
- db
- GUI
- Tomcat
- CSS
- JavaScript
- HTML
- node.js
- Valid groups
- js
- C
- C언어
- chrome mobile debug
- Swing
- 프로젝트
- oracle
- java
- 크롬 디버깅
- MySQL
- 코딩테스트연습
- spring
- Thymeleaf
- 톰캣
- 유효성 그룹
- 프로그래머스
Archives
목록setter (1)
개발 기록

오늘은 접근제한자에 대해 알아보자! 접근제한자를 사용하는 이유 만약 내가 비밀일기를 친구와 공유하고 있다고 치자. 그럼 이 일기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나와 내 친구 둘 뿐일 것이다. 그런데 일기에 대해 접근 제한을 두지 않는다면, 나와 친구 둘 뿐만 아니라 부모님, 사촌, 심지어 지나가던 이웃마저 일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참사를 막기 위해 접근제한자를 사용해야 한다. 접근제한자의 종류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오른쪽으로 갈 수록 보안의 강도가 높아진다.) 1)public public은 모두에게,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만든다. ex)일기를 SNS에 올려서 모두가 볼 수 있게 공개 2)protected 상속관계/ 같은 패키지 에게만 접근을 허락한다...
Java/javaSE
2021. 4. 29. 18:38